스프링부트를 이용하기위한 STS 설치를 해보았다.
STS 설치를 하기위해서 아래링크를 접속해서 다운로드를 한다.
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of Spring tooling
Largely rebuilt from scratch, Spring Tools 4 provides world-class support for developing Spring-based enterprise applications, whether you prefer Eclipse, Visual Studio Code, or Theia IDE.
spring.io
각자에 맞는 OS 환경에 따라서 다운로드를 받으면된다.
나 같은 경우는 개발환경이 윈도우여서 가장 아래에있는 WINDOWS를 선택!
버튼을 누르면 바로 클릭이되고
다운로드 폴더함에 아래처럼 spring-tool-suite-4 ~~~~ 이런식으로 나와있다.
더블 클릭해주면 Unpacking Spring Tool Suite 라는 창이 뜨면서 기다려주면 된다.
드디어 완료
아래처럼 폴더가 하나 생성되었다.
폴더 안을 들어가서 SpringToolSuite4.exe 를 실행해주면된다.
실행하기전에 나 같은 경우 C 드라이브 루트로 옮겨서 실행했다.
스프링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창이 뜨고
workspace를 하고싶은 경로를 설정해주면된다.
나는 STS랑 workspace 둘 다 C 드라이브 루트로 했다.
설정을 다했으면 오른쪽 아래 Launch를 눌러준다.
들어가서 이것저것 셋팅을 해줘야되는 부분이 많지만
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, 톰캣까지 한 번 띄어보기로 했다.
Create new Spring Start Project를 눌러준다.
Type & Packaging & Java Version 등등
각자 환경에 맞게 선택해주면 된다.
나 같은 경우 Type은 Maven, Java Version 8
스프링부트를 셋팅하기위한 Dependencies를 설정을 해줘야 된다.
일단 띄어주기만 할꺼니까 Spring Web 으로 띄어준다.
Frequently Used 는 최근에 했던 Dependencies를 보여주는 항목인데
이전에 스터디를 진행했을 때 아래처럼 했던것으로 기억한다. 그냥 참고해주면 된다.
helloTest 라는 프로젝트생성 완료
가장 상단에 com.example.demo 패키지 안에 HelloTestApplication.java 부분이 있는데
해당부분이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부분이다.
바로 구동을 시작하기 위해서 Ctrl + F11
해당 자바파일을 구동하기위해서는
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되는데
Spring Boot 를 선택해주면 된다.
아래처럼 화면에 Starting HelloTestApplication ~~~~~ 부터 Tomcat started on port~~~~
이상없이 잘 뜬 것을 볼 수 있다.
STS 설치 및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완료